
기초연금 모의계산 하다보면 각종 항목이 있는데 가구 유형이나 다른 재산 항목은 그나마 설명을 읽으면 이해가 가지만, 도무지 헷갈리는 항목이 있었으니 거주지에서 대도시에 해당하는가 중소도시에 해당하는가 하는 부분이었습니다. 이 부분이 왜 중요하냐하면, 공제액의 차이가 크기 때문입니다. 중소도시 농어촌간의 공제액은 그나마 적다면 적다 할 수 있는데 대도시와 중소도시간의 재산 공제액 차이는 꽤 상당하지 않나요. 애초에 지역을 단순히 세 단계로 나눠 공제한다는 것도 과연 최선인가 싶긴한데. 기초연금에 적용되는 거주지의 대도시 중소도시는 무엇인가 알아봤습니다. *아래 내용은 직접 알아본 것이며, 직접 해당하는 지역 기관에 문의하는 것이 가장 정확합니다 먼저 기초연금 모의계산 화면의 거주지 관련 설명을 보면 대도시..

앞서 기초노령연금이라는 연금은 없다는 것과, 기초연금과 노령연금(국민연금)의 차이에 대해 알아봤는데요, 그럼 이제 기초연금을 받으려면 소득 재산이 얼마여야 하고, 받는다면 얼마 받을 수 있는 것인가 직접 계산식대로 계산해보고 기초연금 모의 계산 결과와 정확한지도 비교해봤습니다. 기초연금 자격 기준은 만나이 65세 이상부터 선정기준액보다 소득인정액(소득과 재산을 일정한 기준으로 환산한 액수)이 적어야 기초연금 대상이 된다는 것 *단, 작성일 기준이며, 현재 기초연금 확장법 개정안이 국회 논의 중이므로 향후 변경될 여지가 있습니다. 기초연금의 소득인정액 뜻 소득인정액이란 소득과 재산을 일정한 수식으로 소득평가액과 소득환산액으로 따져서, 한 달 소득으로 인정하는 액수를 말합니다. 소득인정액 =소득평가액+재산의..

기초연금에 대해 알아보다 헷갈렸던 내용을 정리합니다. 기초노령연금과 기초연금 노령연금 차이? 한때 사람들 사이에서 기초노령연금이라는 명칭이 사용되어서 헷갈릴 수 있는데 기초노령연금이라는 정식명칭의 연금은 없다는 것입니다. 기초연금과 노령연금을 모두 포함해서 기초노령연금이라고 부르는 사람이 있을지는 모르겠지만, 정식 명칭은 아니고요. 기초연금과 노령연금 국민연금의 차이? 노령연금은 국민연금의 한 종류 -국민연금공단- 국민연금의 종류에는 장애연금, 유족연금, 노령연금 등이 있습니다. 노령연금은 국민연금 가입 후 납부 기간이 10년(120개월) 조건을 충족했을 시 일정 연령에 도달하면 받게 되는 연금입니다. 우리가 흔히 젊었을 때 국민연금 부었다가 나중에 받는 연금의 명칭이 바로 노령연금이 되겠습니다. 그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