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어 了 용법을 총 정리해 주신 강의가 있어 메모한다. 혼자 설명하는 강의가 아니라 학생과 함께 진행되는 실강의 스타일이라 더 도움이 되는 것 같음. *개인 기억용 노트이므로, 정확한 내용은 해당 강의를 필히 시청 바랍니다. 출처 강의: 유튜브 한솔어학원 중국어, 중국어 문법, 了의 용법(2021년 버전) 이광동 선생님. 了에는 다양한 용법이 있음. 흔히 了하면 과거를 생각하기 쉽지만, 了는, 과거에 了를 쓰기도 하고, 과거가 아닌데 了가 쓰이기도 하고, 과거인데 了가 안 붙기도 하고(是。。。的), 과거와 상관 없는 용법으로 쓰이기도 한다. 了 용법에 대해 다음의 총 7항목 순으로 보자. 1~3. 시제에 관한 了 과거, 과거완료, 현재완료(동작유지, 상태유지) 4. 상태변화 了 5. 가정 표현 了 6...

*기억하기 위한 메모이므로 정확한 정보는 출처 강의에서 확인하시면 되겠습니다. *강의 출처: 유튜브 한솔어학원 중국어 문법, 중국어의 현재완료 vs 과거완료 이광동 선생님 화상수업 중에서 중국어 문장에서 了의 위치에 따른 차이점. 예문1 我今天买了一个西瓜。 我今天买(了)一个西瓜了。 한국어로 번역하면 "나 오늘 수박 하나를 샀다"로 같아 보이지만, 동사 뒤 了와 문장 끝 了는 전하는 의미가 다르다. 我今天买了一个西瓜。 오늘 "수박 하나"를 샀어. 我今天买(了)一个西瓜了。 오늘 수박 하나를 "샀어" (이제 안 사도 돼.) 예문2 대화1 A: 너 점심 뭐 먹었어? > 먹었는지 안 먹었는지 여부가 아니라, 무엇을 먹었는지가 궁금해. B: 나 빵 먹었어. 我吃了一个面包。(과거완료) > 한국어로 대답은 빵이라고만 ..

유튜브에 중국어 강의 본 것이 있어서 메모한다. * 본인 기억을 위한 것으로, 이해력+메모력+정리력이 부족할 수 있으므로 정확한 이해를 위해서는 직접 출처 강의를 찾아보는 보는 것을 권함. 출처: 유튜브 한솔어학원 이광동 선생님 강의 (그냥 외우자가 아니라 한국어 해석과 중국어 원어의 뉘앙스 차이 같은 것까지 차분하고 끈질기게 설명해 주셔서 이해에 도움이 되는 것 같다) 이번 내용은 "불특정한 주어는 술어 뒤에 놓아요(존현문)" 이다. 今天我家来了一个朋友와 我的朋友来了의 차이점 해석: 今天我家来了一个朋友 오늘 우리 집에 왔다, 한 명, 친구 =>오늘 우리 집에 한 친구가 왔다. 의문: 친구에 주격 조사 가가 붙어 친구가 주어니까, 중국어 어순 주어+술어에 따라, 이거펑요가 앞에 와야할 것 같은데 왜 뒤에..
시간 표현하는 방법 중에서 재미난 부분이 있어 알아봤습니다. 지금 시간이 12시 50분이라고 가정해 봅니다. 누군가가 물어봅니다. 지금 몇 시입니까? 대답하는 방법은 세 가지가 있겠습니다. 하나는 "12시 50분"입니다. 그리고 다른 하나는 "1시 10분 전"입니다, 또 다른 표현은 "10분 전 1시" 입니다. 묻고 답할 때 낮인지 밤인지 아는 상황이므로 굳이 오후 1시의 오후라는 표현은 생략하였습니다. 얼핏 보면 셋 다 12시 50분을 표현한 것 같은데, 이 중에 헷갈릴 수 있는 표현은 "1시 10분 전"입니다. 어디에 오해의 여지가 있는 것일까요. 이 "1시 10분 전"은 다음과 같은 뜻으로 받아들여질 수 있습니다. 1) 1시가 되기 10분 전이므로 12시 50분을 뜻한다. 아마 대부분의 사람은 감각..

일본어 오역과 오해가 발생하기 쉬운 부분이다. 일본 지진 발생 시 진도5강이라든가 진도 6약이라든가 진도7약이라든가 하는 표기를 본 적이 있을 텐데, 과연 이게 무슨 뜻일까. 예문을 보자. 진도6약의 지진이 발생한 지 오늘로 20년 그럼 위의 진도6약이란 추측1) 6보다는 약하고 5보다는 강하므로 5.5~5.9쯤? 추측2) 6이긴 6인데 약한 6이라는 의미에서 6.1~6.3 쯤? 추측3) 반(5)을 기준으로 강약으로 나누었을 때 약 쪽이므로 6.0~6.5쯤? 제각각 생각하는 수치가 다를 수 있다. 일본어 어림수 대략적인 숫자 표현 강强, 약弱의 의미 ~弱 뜻을 일본어 사전에서 보면, 숫자 뒤에 붙여 그것보다 다소 적음을 나타낸다고 한다. 숫자에 못미친다는 뜻이다. 예문을 보면, 도보로 1시간약(弱) 걸린..

초등 한수 덧셈 암산을 어느 정도 연습했으면 빼기 암산도 해보자. 우선, 두자리수 빼기 한자릿수 연습이다. 83-7= 처음부터 이렇게 어려운 문제를?! 요점은 10단위로 만들기다. 1. 뒷부분을 체리 쪼개기 : 앞 숫자 83의 3으로 7을 쪼갠다. 7을 3과 4로 쪼갠다. 2. 앞 숫자의 한자리수를 0으로 만든다. 83-3=80 3. 나머지를 뺀다. 80-4=76 뺄셈 암산 연습이므로 머릿속으로 숫자를 세거나 가상의 손가락 세기를 하지 않도록 한다. 익숙해지기까지 메모를 하는 것은 괜찮다고 한다. 암산으로 빼기 연습문제 32-8= 1. 8을 32의 2와 6으로 쪼갠다. 2. 앞 숫자의 한자릿수를 0으로 만들기: 32-2=30 3. 나머지 숫자 빼기: 30-6=24 73-7= 1. 뒤의 숫자 7을 73의 ..

앞 시간에 한자리수 암산 덧셈방법이 익숙해졌다면 이번에는 두자리수 암산 방법을 배워보자. 두자리끼리 덧셈도 한자리수 덧셈과 마찬가지로 체리 계산방법을 사용할 것이다. 단, 문제의 정답이 100미만이 되는 계산식으로 연습한다. 산수 쉽게 암산하기 두자리수 덧셈 계산법 덧셈 암산 연습이므로, 머릿속으로 숫자를 세거나 손가락을 연상하지 않는다. 중요 포인트는 역시나 숫자 10 만들기이다. 예제 1번 문제 28+34=를 풀어보자. 순서1. 28의 한자리수 8을 10으로 만들기 위해 4에서 2를 가져온다. 그럼 30이 된다. 순서2. 34의 4에서 2만큼 가져갔으니 2가 남는다. 즉, 4를 2와 2로 쪼갠다. 순서3. 28+34=는 30+32=와 같다. 답은 62 이다. 예문 2번 문제, 27+54=를 풀어보자...

체리알이 두개씩 붙어있는 체리를 그리는 체리 계산법은 일본에서 소개되고 있는데요. 성인인 본인도 암산하기 위해서 체리 계산법으로 산수 연습을 하고 있습니다. 습관적으로 머릿속으로 숫자세고, 손가락 세고 한다면 이 방법을 연습해 보세요. 한국에서는 어떤 이름으로 가르치는지 몰라서 일본에서 지은 체리 계산법이라는 이름으로 소개합니다만, 덧셈 암산 원리는 같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체리 덧셈 암산 계산법 우선 한자리 덧셈 암산부터 해보겠습니다. 체리 계산법은 아래와같이 3단계로 진행되는데, 처음에는 번거롭겠지만, 갈수록 암산하기 쉬워질 겁니다. 체리 암산법의 중요한 요점은 10 만들기와 체리로 분해하기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예시 문제를 보겠습니다. 8+5=? 라는 문제입니다. 아래와 같은 순서대로 보겠습니다...

간여와 관여는 사용하는 경우가 다르다길래 에이 그럴리가... 하고 알아봤는데, 정말 달라서 놀랐다는 이야기! 각각의 사전적 의미 간여하다 뜻 : 어떤 일에 간섭하여 참여하다. 간여 뜻: 어떤 일에 간섭하여 참여함. 관여하다 뜻 : 어떤 일에 관계하여 참여하다. 관여: 어떤 일에 관계하여 참여함. 관여 간여 차이점 뜻만 보면 얼추 비슷할 것 같은데 분명히 다른점이 있다. 그것은 '간섭', '참견'의 여부다. 관여는 관계된 일에 참여한다는 의미인 반면, 간여에는 간섭과 참견의 의미가 포함되어 있다. 그렇다면 간섭과 참견이 무슨 뜻인가? 간섭 참견 사전적 의미 간섭하다 뜻: 직접 관계가 없는 남의 일에 부당하게 참견하다. 참견하다 뜻: 자기와 별로 관계없는 일이나 말 따위에 끼어들어 쓸데 없이 아는 체 하거나..

*본인이 공부하려고 알아본 맞춤법 헷갈리는 맞춤법 '시피? 싶이?' 하다시피/하다싶이, 알다시피/알다싶이/아다시피/아다싶이, 말씀드렸다시피/말씀드렸다싶이, 말씀드리다시피/말씀드리다싶이, 보다시피/보다싶이, 보시다시피/보시다싶이, 없다시피/없다싶이 ...... 등등이 헷갈겼다. -시피와 -싶이 구분이 안 되어서라고 생각했고, 이것이 헷갈림의 원천이었다. 국어사전 검색해보면 '시피'는 영어와 한자만 나오지 우리말 연결어미로 쓰일 것 같은 '-시피'는 안나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시피는 없는 말이다. -시피 X, -다시피 O! '-시피'라고 생각했던 것은 사실 '-다시피'였다. '-시피' 착시가 주는 오류 알다시피의 구조를 '알다+시피'처럼 보이니까, '알다+싶이'랑 헷갈렸던 것이다. -다시피 뜻 -다..

냄새인 것 같기도 하고 냄세인 것 같기도 하고 헷갈려서 정리해봤다. 냄세 냄새 헷갈리지 않는 이미지 연상법 냄새는 바람을 타고 날아든다. 날아다니는 새를 연상한다. 물론 이건 암기를 위한 이미지 연상일 뿐이고, 냄새의 새는 무슨 새일까 궁금해서 알아봤다. 냄새의 구조와 관련 내용 정리 '냄'과 '새'의 결합이다. 냄은 내음의 줄임이다. 내음의 뜻 : 흔히 다른 명사 뒤에 쓰이며, 코로 맡을 수 있는 나쁘지 않거나 향기로운 기운이다. 뜻에서 나와 있는 것 같이, 내음은 기본적으로 긍정적 이미지다. 내음 예문) 봄 내음, 꽃내음, 솔 내음, 바다 내음, 산록의 내음, 등등... OK (마이너스 이미지) 구리한 발 내음? 지독한 입 내음????????? 개인적인 언어 감각으로 봤을 때 이러한 표현은 이상하다...

일본인과 대화를 하다보면 같은 사물을 두고도 한국어 일본어 표현 차이를 느낄 때가 많은데, 그중 하나가 콘택트 렌즈였다. 콘택트 렌즈를 일본어로 뭐라고 하나 한국에서는 콘텍트 렌즈를 일컬을 때, 본인은 물론, 주위에서도 보통 렌즈라고 표현한다. 안경이 불편해서 요즘은 렌즈끼고 다녀. 렌즈 처음 사용하는데 어떻게 껴? 렌즈끼다 눈이 너무 건조해서 요즘은 안경 껴... 등등등. 처음엔 당연스레-, 오늘은 외출하느라 렌즈를 꼈더니 어쩌구랬더니 일본인들이 응? 뭐? 렌즈? 뭔렌즈를 어쨌다고? 멈칫거리길래, 반응이 왜 이러지 싶었는데, 아~ 콘타쿠토~ 라더라. 물론 일본인도 사람인지라 눈치라는 게 있는데, 뜬금없이 카메라 렌즈를 떠올리진 않지만, 일반적으로 시력과 관련된 렌즈라고 하면 안경 렌즈를 생각하고, 콘택..

~이었다, ~이었어 ~이다+ 과거를 나타내는 었=이었다. 받침이 있는 명사 뒤에 이었다를 쓴다. 그녀는 부사장이었다. 취미는 바리올린이었다. 그리고 미혼이었어. ~였다, ~였어 이었다의 줄임말이다. 받침이 없는 명사 뒤에 였다를 쓴다. 그녀는 미녀였다. 그녀를 만난 곳은 바다였어. ~이였어, ~이였다는 틀린 표현 ~이였다는 잘못된 표현이다. X 모범 학생이였다. X 학생은 받침이 있는 명사이므로, 뒤에 이었다가 와야 바른 표현이다. O모범 학생이었다.O ~이였다가 바른 표현으로 착각되는 경우 ~이였다는 틀린 맞춤법이다. 명사 -이+였다를 착각한 것일 수 있다. 이것은 명사 경계가 어딘지 헷갈려서 생기는 오류다. O그녀는 바람둥이였다.O 이 경우, 바람둥+이였다 가 아니라, 바람둥이+였다(받침이 없는 명사..

요즘 방송 등에서 자주 들을 수 있는 표현인데 티키타카 뜻을 잘 몰라서 알아봤습니다. 티키타카 란? 원래 티키타카 뜻은 스페인 축구에서 주로 쓰인 짧은 패스를 빠르게 주고받는 경기 전술을 뜻하는 용어입니다. 이것이 요즘 한국에서는 서로 패스하듯 빠르게 주고받는 대화라는 뜻으로도 쓰이고 있습니다. 最近テレビ番組とかでよく耳にする言葉のティキタカの意味がよく分からなくて調べてみました。 티키타카の意味 ティキタカとは? 発音:ティキ・タカ ティキタカの意味は本来、スペインのサッカーでよく使われるプレースタイルの一つで、早いスピードでパスしてボールをつなぐ試合の戦術をいいます。 それが最近韓国では会話の時、お互いにパスするように会話がよく続く、息がよく合うという意味でも使われてます。
2019년, 올해 일본은 헤이세이 시대가 막을 내리고 새 연호 레이와(令和) 시대를 맞이한다고 합니다. 일본 내에서 이토록 중요시 되는 연호는 과연 누가 어떤 식으로 정하는 걸까. 언뜻 텐노(덴노, 일왕)가 정하는 것일까 하는 생각이 들었지만, 역시나 어느 특정 개인의 권한으로 정하는 것은 아니라고 하네요. 일본인 친구나 지인이 있다면 대화에 자주 등장할 법한 연호로 쇼와, 헤이세이, 레이와 정도는 어느 시기인지 대략적으로 알아두면 문화를 이해하는 데 참고가 되지 않을까 싶어요. 메이지 이후 연호 순서 시기 메이지(明治) 18680125~19120730 44년 다이쇼(大正) 19120730~19261225 14년 쇼와(昭和) 19261225~19890107 63년 헤이세이(平成) 19890108~2019..
국립국어원 외래어 표기법에 따르면 일본어 장음표기에 대해 원칙은 장모음 표기하지 않는다이지만, ei 의 경우 실생활에서 장모음 표기가 널리 쓰이고 있다. 예를 들면 일본 연호 평성(平成)의 경우, 平成 へいせい heisei 로, 외래어 표기법에 따르면 장모음 표기를 하지 않아야 하므로 헤세가 되어야 하지만, 헤이세이로 널리 쓰이고 있을 뿐 아니라, 실제로 헤이세이로 등록되어 있다. 일본 역사인 平安時代 へいあん 역시 헤이안 시대로 장음표기 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헤안시대라고 표기 하지 않는다.) 이에 관련한 국립국어원 답변도 찾아봤다. 2차답변: 일본어 표기 세칙에 따라 장모음은 따로 표기하지 않으나, 일본어의 エイ는 관용에 따라 에이로 표기한다. *일본어 장모음 おうou의 경우는 장모음 표기하..
칼치기가 저미기, 조사버기리기, 어슷썰기처럼 무슨 주방에서 요리할 때 쓰는 조리용어인줄 알았는데 전혀 다른 뜻이었다는 것. 칼치기 뜻 칼치기란 불법 운전 주행 기술 중 하나로 차와 차 사이를 칼날이 스치듯 빠르고 아슬하게 빠져나가 추월하는 난폭운전을 의미한다고. 특히 차량 사이 사이를 왔다갔다 차로변경하는 칼치기는 정말 위험하기 짝이없는 운전행위로, 1년 이하의 징역이나 500만원 이하의 벌금형으로는 부족한 느낌이 들지 않나? 칼치기 표준어인가? 사전을 검색해 봤는데 사전에 등재되어 있는 표준어는 아닌 것으로 확인되었다. 충격적인 외국어표기법 그라탕 그라탱 맞춤법 일본어グラタン 중국어?거국내각 뜻 의미 한자(擧國內閣)? 믿을 수가 있어야지!전수조사 뜻스모킹건 뜻과 유래 코난 도일 smoking gun 의..
오늘은 실생활에서도 자주 쓰이는 아니시에이팅과 하니시에이팅의 뜻과 실용례를 알아보자. 둘다 태생은 게임용어였다. 겜용어에서 전쟁의 시작을 알리는 소위 말하는 한타를 연다는 의미로 사용된 이니시에이트(initiate, 개시되게 하다), 이니시에이팅, 이니시에서 파생된 아니시에이팅과 하니시에이팅은, 그러나 이니시에이팅과 결정적으로 다른 점이 있다. 그것은 아군도 적도 없는 전쟁. 이니시에이트는 아군 팀과 적군의 싸움에서 적군이 타겟이 되지만, 아니시에이팅과 하니시에이팅은 아군 팀과의 전쟁의 서막을 알리는 용어로, 타게팅이 아군이 된다는 의미다. 그럼 정확한 뜻과 예문을 살펴보자. 아니시에이팅 뜻: 아니로 시작하는 전쟁 ???: 아니... 님아(블라블라) ???: 머라머라? ㅅㅂ 싸우자 하니시에이팅 뜻: 하...
작업하다 웃통과 윗통이 헷갈려서 정리해봤다. 웃어른vs윗어른 올바른 표현? 표준어는 웃어른이다. 왜일까? 웃과 윗이 헷갈릴 때 원칙1) 위/아래 대립어가 있을 때는 사이시옷을 쓴 "윗-"을 쓴다. 반대로 위아래 대립어가 없을 땐 "웃-"을 쓴다. 예문) 위어른은 있지만, 아래어른은 없으므로 "웃"을 쓴다 "웃어른". 위사람도 있고 아래사람도 있으므로, "윗사람"과 "아랫사람(손아랫사람)". 허리 윗부분과 아랫부분이 있으므로, "윗도리" "아랫도리"가 맞는 표현이고, 웃도리는 틀린 표현. 웃층vs윗층vs위층 바른 맞춤법은? 원칙1)에 따라, 대립어 "위의 층"과 "아래의 층"이 있으므로 "웃층"은 틀린표현이다. 그럼 "윗층vs위층" 중에 표준어는? 사이시옷 붙여야 하는지 "위"와 "윗"이 헷갈릴 땐 원칙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