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이었다, ~이었어
~이다+ 과거를 나타내는 었=이었다. 받침이 있는 명사 뒤에 이었다를 쓴다.
그녀는 부사장이었다.
취미는 바리올린이었다.
그리고 미혼이었어.
~였다, ~였어
이었다의 줄임말이다. 받침이 없는 명사 뒤에 였다를 쓴다.
그녀는 미녀였다.
그녀를 만난 곳은 바다였어.
~이였어, ~이였다는 틀린 표현
~이였다는 잘못된 표현이다.
X 모범 학생이였다. X
학생은 받침이 있는 명사이므로, 뒤에 이었다가 와야 바른 표현이다.
O모범 학생이었다.O
~이였다가 바른 표현으로 착각되는 경우
~이였다는 틀린 맞춤법이다.
명사 -이+였다를 착각한 것일 수 있다.
이것은 명사 경계가 어딘지 헷갈려서 생기는 오류다.
O그녀는 바람둥이였다.O
이 경우, 바람둥+이였다 가 아니라, 바람둥이+였다(받침이 없는 명사뒤에 쓰는 였다)이다.
O그녀의 애완동물은 고양이였다.O
마찬가지로 고양+이였다가 아니라, 고양이+였다이다.
O그녀의 고향은 고양이었다.O
이 경우는 고양시의 고양+이었다(받침이 있는 명사 뒤에 쓰는 이었다)이다.
이었다, 이였다, 였다 구분법 정리
받침 있는 명사 뒤에 이었다를 쓴다.
받침 없는 명사 뒤에 였다를 쓴다.
~이였다는 틀린 표현이고, 명사 끝 -이+였다를 착각한 것이다.
웃어른 윗어른 윗옷 웃옷 위층 윗층 맞춤법 바른표현 원칙 두 가지 정리
웃어른 윗어른 윗옷 웃옷 위층 윗층 맞춤법 바른표현 원칙 두 가지 정리
작업하다 웃통과 윗통이 헷갈려서 정리해봤다. 웃어른vs윗어른 올바른 표현? 표준어는 웃어른이다. 왜일까? 웃과 윗이 헷갈릴 때 원칙1) 위/아래 대립어가 있을 때는 사이시옷을 쓴 "윗-"을 쓴다.
bluesauce.tistory.com
안 헷갈리는 맞춤법 02 김치 담궜어? 담갔어? 담겄어?
한번 보면 영원히 안 헷갈리는 맞춤법 02 김치 담궜어? 담갔어? 담겄어?
김장철이 지나고 이제 김치 얘기를 좀 하게 되는 시즌인데요.(?) 너네 김치 담궜어?/담갔어/담겄어? 이번에 담군/담근 김치 맛이 좀 어때? 헷갈리지 않으시나요? 기본형이 '담그다'로 담'구'었다나
bluesauce.tistory.com